엑셀 시간 함수 총정리|실무에서 꼭 쓰는 시간 계산 함수 6가지 예제
엑셀에서 시간 데이터를 다루는 업무는 의외로 많습니다.출퇴근 기록 관리, 작업 시간 계산, 시간 단위 청구서 작성, 시간 간격 분석 등에서 정확한 시간 계산이 필수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업무를 자동화하려면 엑셀의 시간 관련 함수들을 잘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이번 글에서는 엑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시간 함수 6가지를 정리하고, 각각의 실무 적용 예제까지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1. TIME 함수|시, 분, 초를 조합해 시간 만들기 엑셀 시간 함수 중 먼저 TIME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사용법 excel복사편집=TIME(시, 분, 초)→ 시, 분, 초 값을 입력해 시간 형식으로 변환합니다. ✅ 예제 excel복사편집=TIME(14, 30, 0)→ 결과: 14:30:00 → “오후..
2025. 10. 5.
엑셀 DATEDIF 함수 1분 완성 가이드|두 날짜 사이 기간 계산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
DATEDIF 함수 엑셀로 일정 관리, 인사관리, 프로젝트 기간 계산을 하다 보면두 날짜 사이의 차이를 계산해야 하는 일이 많습니다.예를 들어, 입사일부터 오늘까지의 근속연수, 고객 등록일 이후 경과 일수, 또는 두 날짜 간의 개월 수를 알고 싶은 상황이죠. 이럴 때 가장 유용하게 사용되는 함수가 바로 DATEDIF 함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DATEDIF 함수의 기본 구조, 사용 가능한 단위 옵션, 실무 활용 예제, 주의사항까지 엑셀 실무자라면 꼭 알아야 할 핵심 내용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DATEDIF 함수란?DATEDIF 함수는 두 날짜 사이의 차이(기간)를일, 개월, 년 단위로 계산하는 함수입니다.기존 엑셀 함수 목록에는 표시되지 않지만, 실제로는 오래전부터 사용 가능하며 지금도 다양한 실무에서..
2025. 10. 2.
엑셀 DATE 함수 완벽 정리|연, 월, 일을 조합해 정확한 날짜를 만드는 방법
엑셀을 사용하다 보면, 다양한 형태의 날짜 데이터를 처리해야 할 일이 많습니다.특히 연도, 월, 일이 따로 나뉘어 있는 데이터를 하나의 날짜로 합치거나, 특정 날짜를 수식으로 계산해야 하는 상황에서 매우 유용한 함수가 있습니다.바로 엑셀 DATE 함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DATE 함수의 기본 사용법부터 실무 활용 예제, 다른 날짜 함수와의 조합, 자주 하는 실수까지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DATE 함수 하나만 제대로 알아도 날짜 계산의 복잡함이 눈에 띄게 줄어듭니다. DATE 함수란?엑셀의 DATE() 함수는 연도, 월, 일 값을 입력하여 날짜 형식으로 변환하는 함수입니다. 숫자 데이터를 기준으로 날짜를 생성하므로, 연도·월·일이 따로 있는 데이터를 하나의 날짜로 통합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
2025. 9.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