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전, 컴퓨터를 포맷한 뒤 가장 먼저 설치한 게 무료 백신 프로그램인 Avast였습니다.
광고도 적고 신뢰도도 높다는 말에 설치했죠.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무거워지는 시스템,
수시로 뜨는 팝업창, 은근한 리소스 잡아먹기...
결국 저는 Avast 삭제 방법을 직접 찾아보기 시작했어요.

1. 일반 삭제 vs 완전 삭제, 차이를 아시나요?
처음엔 제어판에서 간단하게 삭제하려 했습니다.
그러나 웬걸요, 삭제 후에도 백그라운드에 Avast 관련 서비스가 돌아가고 있었어요.
‘왜 지웠는데도 살아있지?’ 싶은 순간,
공식 제거 도구의 존재를 알게 됐죠.

2. 공식 제거 도구 'Avast Clear' 활용기
Avast를 완전히 제거하고 싶다면,
Avast에서 제공하는 전용 삭제 툴인 Avast Clear를 이용해야 합니다.
1) 제가 실제로 했던 방법은 다음과 같아요
- 공식 홈페이지에서 Avast Clear 다운로드
- 실행하면 안전 모드 전환 안내가 나옴 → '예' 클릭
- 컴퓨터 재시작 후 자동으로 안전 모드 진입
- 설치 경로 확인 후 '제거' 클릭
- 제거 후 시스템이 다시 재부팅됨
이 과정을 거치면 Avast 관련 프로세스가 완전히 사라져요.
저처럼 백신이 시스템에 얽히는 걸 싫어하는 분들께 강력 추천합니다.

3. 삭제 후 꼭 확인할 두 가지
- C:\Program Files\AVAST Software 폴더가 남아있다면 수동 삭제
- regedit → 레지스트리에서 Avast 관련 키워드 검색 후 정리
이 두 작업까지 해야 비로소
완전한 'avast 삭제 방법'을 실천했다고 말할 수 있어요.
특히 레지스트리는 민감한 영역이라 백업 후 조심히 작업해야 합니다.

4. 삭제 후 대체 백신은? 저는 윈도우 디펜더!
백신을 삭제하면 보안이 걱정될 수 있어요.
하지만 저는 Windows Defender 하나로 충분하더라고요.
요즘은 성능도 뛰어나고, 시스템 자원도 적게 잡아먹어요.
게다가 이미 윈도우에 기본 포함되어 있으니 따로 설치할 필요도 없고요.

5. 나의 Avast 삭제 실패담 😅
한 번은 Avast를 삭제한 줄 알았는데,
외장 SSD에서 예전 백업이 자동 실행돼
다시 설치된 적이 있어요.
이런 일이 없도록 외장 드라이브도 꼭 점검해야 합니다.

6. 팁: 삭제 후 재부팅은 필수!
삭제를 마친 후 꼭 시스템을 재시작하세요.
일부 파일은 실행 중엔 지워지지 않기 때문에
재부팅을 통해 삭제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어요.
이렇게 하면 진짜 깔끔하게 제거됩니다
정리해볼게요.

7. 단순 삭제는 불완전함
- Avast Clear는 공식 제공 도구로 신뢰 가능
- 삭제 후 폴더 & 레지스트리 정리까지 하면 깔끔
- 대체 백신으로 Windows Defender 추천
저는 이 과정을 통해 시스템 속도가 눈에 띄게 빨라졌고, 팝업에 대한 스트레스도 사라졌어요.
혹시 Avast가 불편하셨다면, 지금이 삭제할 때입니다.
Avast 삭제 방법, 어렵지 않아요.
정확히 알고 진행하면 누구나 할 수 있어요.

'지식 연구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록시 방화벽 DNS 설정 확인: 네트워크 문제 해결법 (0) | 2025.05.18 |
---|---|
녹스 실행 안될 때 방화벽 설정으로 해결한 나의 실전 후기 (0) | 2025.05.17 |
프록시 및 방화벽 점검 오류가 발생했을 때, 해결하는 방법 정리 (1) | 2025.05.16 |
크롬이 인터넷에 접속하지 못할 때, 해결하는 5가지 팁 (0) | 2025.05.15 |
윈도우에서 방화벽 허용했는데도 계속 파일 실행을 묻는다면? 해결방법 총정리 (1) | 2025.05.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