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 연구

고대 국가(통일 신라)

by 관리자 상 2023. 1. 4.
반응형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여 통일신라시대가 오고 통일신라 위로 발해가 국가를 이루고 있는데, 이 시기를 남북국 시대라 했다. 그 근거는 조선 후기 실학자였던 유득공이 발해고라는 책을 썼는데, 여기서 남북국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당시 사람들이 통일신라와 발해의 시기를 남북국 시대라고 불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남북국시대의 통일신라와 발해의 모습을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1. 통일 신라 전기

통일 신라는 태종 무열왕부터 시작한다. 이전에 신라시대에서는 성골만이 왕이 될 수 있었는데, 통일신라로 접어들면서 김춘추가 최초의 진골 출신 왕인 무열왕이 되었다. 무열왕은 나·당 연합을 통해 백제를 멸망시켰다. 이후 문무왕이 고구려를 멸망시키며 신라가 삼국에서 최후 승리자가 되었는데 연합이었던 당나라가 한반도를 차지하려 하자 나·당 전쟁이 일어나게 된다. 문무왕은 당과의 전쟁에서 승리하며 삼국을 완전히 통일하게 된다. 삼국을 하나의 나라로 통치하기 위해 인질을 가까이 두는 상수리제도와 외사정을 두어 지방 귀족들을 견제했다. 문무왕은 죽어서도 용이 되어 나라를 지키겠다고 했는데, 동해에 있는 문무 대왕암이 용이 된 문무왕이라고 한다. 문무왕의 아들이었던 신문왕이 왕위에 오르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면으로 다양한 변화가 있었다. 먼저, 정치면에서 김흠돌의 난이 일어나게 되는데 진골 귀족들이 난을 일으킨 사건으로 진골 귀족들을 처단하는 명분이 되었다. 그러면서 왕권이 더욱 강화된다. 계속해서 신문왕은 귀족들의 힘을 약화하는데, 귀족들의 회의였던 화백회의를 주관하던 상대등의 세력을 약화하고 집사부 시중의 세력을 강화했다. 집사부 시중은 왕의 오른팔 같은 곳이었기 때문에 귀족의 세력은 약화하고 왕권은 강화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6두품을 적극적으로 등용한다. 당시 설총이 6두품이었는데 설총의 화왕계가 당시 상황을 잘 말해준다. 경제적인 면에서는 귀족들에게 관료전을 지급하고 녹읍을 폐지했다. 녹읍은 하나의 읍을 주는 것인데 거기의 노동력까지도 제공된다는 의미가 있다. 그런데 이 노동력은 군사력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귀족들에게 관료전(돈)으로 지급하는 것은 왕권을 보호하고 귀족들에게 노동력을 지급하지 않는다는 의미가 있다. 사회적인 면에서는 9주 5소경으로 전국을 나누어 수도로 너무 집중된 것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했다. 9주 5소경으로 나누어진 지역 중에 중원경과 서원경은 역사적으로 의미가 있는 곳인데, 중원경은 충주 고구려비가 있는 곳이고 서원경은 민정 문서와 직지심체요절이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그리고 신문왕은 군대를 9서당 10정으로 나누었는데 9서당은 중앙군으로 민족융합정책을 펼쳐 이 중앙군에는 고구려, 백제, 신라 민족들이 다 포함되었고, 말갈족까지도 있었다고 한다. 10정은 지방군이다. 그리고 문화적으로 국학으로 유학을 가르치며 자발적으로 왕에게 복종하도록 만들었다. 또한 아버지였던 문무왕의 호국정신을 받들어 아버지께 감사한다는 의미의 감은사를 짓고 그 안에 만파식적이라는 피리를 두어 용이 되어 우리를 지켜주는 문무왕에 대한 의미를 되새겼다. 여기까지가 통일신라 전기의 왕들과 그 정책들을 알아보았다.


2. 통일신라 후기

통일신라 전기에는 왕권이 강화되며 나라가 굳건하여졌지만, 후기에 가서는 오히려 왕권이 약화하며 위기를 맞이하는 모습을 보인다. 통일신라 전기의 마지막 왕이었던 혜공왕이 암살당하게 되면서 정치적으로 김헌창의 난이 일어나게 되는데 진골 귀족들이 서로 왕이 되겠다고 다툰 것이다. 귀족들의 힘이 강해지고 왕의 권한이 약화하면서 다시 녹읍이 부활하게 되었고, 사회적으로는 호족이 등장하게 된다. 호족은 장군이나 성주라고 자신을 지칭했다. 호족 1세대로는 장보고가 있다. 장보고는 법화원을 세워 당나라 쪽 무역업을 했고, 지금의 완도인 청해진에 기지를 얻어 해적들에게 끌려가는 신라인들을 구했다고 한다. 장보고는 무역업을 통해 엄청난 부자였다고 한다. 호족 2세대로는 견훤, 궁예, 왕건이 있다. 견훤은 완산주에 후백제를 세워 백제를 부흥시키려 했다. 그래서 후 당과 오월에 사신을 파견하며 힘을 키웠고, 궁예는 송악에 후고구려를 세워 고구려를 부흥시키고자 했다. 왕권은 송악에 고려를 세우는 데 견훤과 궁예가 힘을 합쳐 왕건을 공격하게 된다. 처음에 공산전투에서 견훤과 왕건이 전투를 벌이는데 왕건을 대신해서 신숭겸이 죽고 견훤이 승리하게 된다. 두 번째 전투인 고창 전투에서는 왕건이 승리하게 되는데, 이 고창 전투를 보고 만든 놀이가 안동 차전놀이라고 한다. 이 고창 전투 이후 후백제가 분열하게 되고 견훤은 첫째 아들이었던 신검이 아닌 둘째에게 왕위를 물려주려 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신검이 견훤을 금산사로 유배시켜버리는데, 이를 괘씸하게 여긴 견훤이 왕건에게 도움을 요청하게 되고 왕건이 이를 받아들여 신검과 일리천에서 전투하게 된다. 결과는 왕건과 견훤이 승리하게 되고 당시 통일신라의 왕이었던 경순왕이 항복하고 나라를 왕건에게 내어주게 되면서 경순왕의 아들이었던 태자가 어떻게 나라를 그냥 줄 수 있냐며 마의를 입으며 돌아다녔다고 해서 마의태자라는 말이 나왔다고 한다. 이렇게 혼란스러웠던 호족들의 왕권 다툼으로 인해 백성들의 생활은 엄청나게 어려워졌고, 백성들은 진성여왕 때 원종·애노의 난을 일으킨다. 이것을 보면 백성들의 삶이 얼마나 고달팠을지 알 수 있다. 통일신라 후기에는 문화적으로 불교에서 선종이 엄청난 유행을 했다. 선종은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고 하는 사상을 주장하여서 호족들은 누구나 부처가 되고 누구나 왕이 될 수 있다는 정당성을 부여할 수 있어서 선종을 좋아했다. 그리고 풍수지리설이 유행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왕이 될 자리가 있다고 하면 호족들이 좋아했기 때문이다.

 

반응형

'지식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고전적 조직이론  (0) 2023.01.04
고전적 조직이론  (0) 2023.01.04
행정과 시민사회  (0) 2023.01.03
행정과 법  (0) 2023.01.03
행정과 행정학  (0) 2023.01.03

댓글